온라인에서 화제가 된 소식을 전해드리는 '오늘 세 컷' <br /> <br />드라마 '파친코'가 미국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에서 최우수 외국어 드라마상을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 시상식은 미국과 캐나다의 방송·영화 비평가 600여 명으로 구성된 크리틱스 초이스 협회가 주관하는 행사인데요. <br /> <br />파친코는 함께 후보작으로 선정된 '이상한 변호사 우영우', '여총리 비르기트', '1899'등과 경쟁한 끝에 최우수 외국어 드라마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습니다. <br /> <br />재미교포 이민진 작가의 소설을 드라마화한 '파친코'는 일제강점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재일동포 4대에 걸친 삶을 그린 작품인데요. <br /> <br />'파친코'의 수상으로 2020년 '기생충', 2021년 '미나리', 지난해 '오징어 게임'에 이어 우리나라 관련 영화와 드라마가 4년 연속 수상하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'치매', 하면 부정적인 어감이 강하죠. <br /> <br />이 때문에 정부가 치매를 다른 말로 바꾸기 위한 논의에 들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'치매'라는 단어는 '정신이상'이란 뜻을 가진 라틴어 의학용어에서 유래했는데요. <br /> <br />이 어원을 반영해 '어리석다'는 의미의 '치매'(癡?)라는 한자로 옮긴 겁니다. <br /> <br />일본이 사용하기 시작한 용어인데, 이 한자를 우리 발음으로 읽어 지금도 사용하고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정작 일본은 이 '치매'라는 용어의 뜻이 부정적이라 환자들이 차별적 대우를 받게 된다면서 지난 2004년 '인지증'으로 용어를 바꿨습니다. <br /> <br />뒤늦긴 했지만, 우리 역시 치매라는 용어가 질병에 대한 편견을 갖게 하고, 환자와 가족에게 불필요한 모멸감을 주기도 한다는 지적에 따라 바꾸기로 한 건데요. <br /> <br />복지부가 지난 2021년 설문 조사한 결과 대체 용어로 가장 많이 꼽힌 용어는 '인지 저하증'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카드나 페이 등 현금이 아닌 지급수단이 늘면서 위조지폐가 사라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은행은 지난해 발견된 위조지폐가 모두 150장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는데요. <br /> <br />그 앞선 해의 176장보다 줄었을 뿐만 아니라, 관련 통계를 공표한 1998년 이후 가장 적은 수준입니다. <br /> <br />5천 원권이 75장으로 가장 많았고, 만 원권 43장, 5만 원권 23장, 천원 권이 9장 발견됐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은행은 비현금 지급수단 이용이 늘면서 대면 상거래가 축소되고, CCTV 설치가 확대돼 위조범을 조기에 검거하게 된 덕분이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'오늘 세 컷'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윤보리 (ybr0729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30116201725414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